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칭자격
- 코칭레터
- StrengthFinder
- 프레즌스
- 코칭칼럼
- 감정의발견
- 정신분석
- 문제가아니라사람에주목하라
- 소설가라는이상한직업
- 북리뷰
- 마음챙김
- 정지현코치
- 중년기위기
- 정지현북리뷰
- 코칭추천책
- 소크라테스익스프레스
- 김영하북클럽
- 코칭심리
- 모닝페이지
- 코칭컬럼
- 책추천
- 완전한행복
- 코칭경영원
- 영성코칭
- 디팩초프라
- 중년기책
- 퍼펙트데이즈
- 마샤레이놀즈
- 국제코치연맹
- ICF
- Today
- Total
목록Ouput (25)
코칭발전소
최근 코칭/코칭심리학을 알려주는 특강을 준비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말로 설명하기 보다 영상을 통해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싶었다. 유투브에서 #코칭(coaching)을 치면 엄청나게 많은 영상들이 뜨는데.. 이 가운데 쉬우면서도, 짧고, 생각해볼 포인트가 있는 영상들로 몇 가지 추려본다. 1. https://www.youtube.com/watch?v=Esh75mbmucY 코칭 대화를 우화적으로 그려냈다. 아주 심플하고, 자막이 없어도 이해가 쏙쏙되는, 그러면서도 코칭의 기본적인 개념이 다 들어가있는 짧은 애니메이션이다. 미취학 아이들에게 소개해도 무방할 정도^^ 2. https://www.youtube.com/watch?v=UY75MQte4RU&t=5s 코칭이 작동되는 원리에 관한 짧은 무..
스승님께서 어제 말씀하시길 "박사학위 받는 것을 한마디로 설명해줄게" "무엇이옵니까?" "태산준령 하는 것이다" "태...산.. 주... 그게 무엇이옵니까?(한자 세대가 아니옵니다.)" "큰 산을 넘고, 험한 고개를 넘는다는 것이지" "아..핫. 맞네요. 바로 그것 같습니다." "내가 니 학위 받으면 인정해준다. 나는 못했거든? 태산준령 했음을 인정해줄게" 어찌 어찌 수료까지는 갈것 같은데..학위를 받는 것은 몹시 고달픈 일인 것 같다. 스승님을 뵙고 와서 머릿속에 이 질문이 맴돈다. '해아 하는데 안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논문 읽기, 통계 공부 요즘 도전적인 코칭에 너무 힘을 주고 살았다. 그러고도 잠을 9시간 넘게 잔다. 태산준령...다시 마음에 새기고, RISS로 고고씽...
새해가 시작되다니.. 놀라운데 .. 좀 지루하다. 작년에도 지금과 같이 스터디 까페에서 한 해 마무리와 시작을 위한 의식(?)을 거행했다. 그냥 캘린더를 보고 무슨 일이 했구나. 포스팅을 하면서 아, 이런 책을 읽었구나. 인스타를 보고 아, 어딜 어딜 갔었구나. 딱 그정도 작년 한해는 나에게 너무 힘들었다. 유년시절 이후 가장 많이 울었던 한해로 기억한다. 짭쪼름한 눈물 맛을 본 만큼 단단해지고 뻔뻔해졌다. 나는 아직도 수용과 포기를 구분하기 어렵다. 받아들인다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겠다. 현재까지의 결론은 '긍정적 포기'로 이해하자 했는데, 긍정적으로 포기했던 것들이 때때로 불쑥 튀어나와 내 마음과 정신을 어지럽힌다. 인생 선배들의 조언대로 흘러가게 두는 것, 그저 믿고 또 믿는 것(믿음의 실체 ..

코칭 도서를 추천해달라는 요청을 종종 받는다. 어느 분야든 입문서의 조건은 1.쉽고 2.간결하고 3.깊이가 있으며 4. 역사적 의미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래 추천하는 5권의 책은 나의 입문에 도움이 되었던 책+주변 코치들의 추천이며, '코칭'자체의 개념을 설명한 것 위주로 소개하며.. 아~~~~~~주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힙니다. 1.성과향상을 위한 코칭 리더십(존 휘트모어, 2019 개정판) 비즈니스 코칭의 레전드, GROW모델의 창시자 존 휘트모어 경이 저술한 이 책은 원래 2007년 발간되었고, 존 경의 사망 이후 2019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존 휘트모어가 주장하는 코칭의 철학, 사상을 그대로 옮겨오면서도 그간의 비즈니스 코칭이 성장하면서 생긴 오해를 바로 잡고, 코칭의 본질에서부터 코칭대화..

2021년 8월, 드디어 PCC 자격을 취득했다. 올해 중요한 목표가 하나 달성되었고, 바쁘게 살았던 내게 눈에 보이는 '성과'라 의미가 있었다. 코칭을 처음 접한 것은 2006년, 코칭일을 시작한 것은 2010년, 코칭 실습을 처음 시작한 것은 2013년이고, 평생 직업으로 생각한 것은 2016년, 그리고 PCC 취득까지 딱 5년이 걸렸구나 많은 코치가 그러하듯 나 역시 코칭을 통해 인생의 많은 부분이 변화했다. 특히 나의 20대를 알고 있는 친구들은 '너의 다크함을 치유한게 코칭이었느냐' 할 정도...(으응?) 코칭 일을 하면서, 또 주변에 많은 코치님들과 함께 일하면서 자연스럽게 코치가 된 것도 맞지만, 사실 얼마전까지 나에게 코칭 자격이란 내 일의 전문성을 보여주기 위한 하나의 도구에 불과했다. ..